HelloTV 매거진/2009 10
[Education]‘입시 길치’들을 위한 로드맵 2010 고입 가이드
알 수 없는 사용자
2009. 11. 11. 10:18
‘입시 길치’들을 위한 로드맵
달라진2010 고입 가이드
2010년 고교 입시는 극심한 변화를 앞두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고교 다양화 300프로젝트’ 시행으로 학교 선택권이 넓어진 반면 자율고 · 자립형사립고 · 고교선택제 도입으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본격적인 고교 입시철을 맞아 2010 고교 입시의 달라진 점들과 전형 일정을 모아봤다.
Point 01
고교 다양화 정책으로 학교 선택권 넓어져
올해 중3인 학생이 진학할 수 있는 고등학교의 종류는 과학영재학교 · 외고 · 과학고 · 국제고 · 자립형사립고 · 자율형사립고 ·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 개방형자율고 · 기숙형공립고 · 일반계고 · 전문계고 등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학교 다양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중3 학생의 학교 선택권이 넓어진 덕분이다.
다양한 학교가 새롭게 등장해 수험생 입장에선 자신의 적성과 특기, 장래 진로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특히 서울지역 중3 학생의 경우 고교선택제 도입으로 기존 전기모집 외에 후기모집에서도 원하는 고교를 골라 지원할 수 있게 됐다.
Point 02
>전기모집, 후기모집으로 서울지역 학생의 경우 최대 5번까지 지원 가능
우선 전기모집에선 한국과학영재학교 · 서울과학고 · 경기과학고 등 과학영재학교 입시가 가장 먼저 치러진다. 그 다음 외고 · 과학고 · 국제고· 자립형사립고 · 자율형사립고 · 자율학교 · 마이스터고 · 특성화고 중 한 곳을 선택해 원서를 낼 수 있다. 전기모집 고교의 경우 지난해와 달리 학교별 입시 일정이 다르더라도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학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전기모집 고교 입시에서 낙방했거나 전기모집 고교 진학에 관심이 없는 수험생은 후기모집을 노려야 한다. 지방의 경우 평준화 지역은 학군에 따른 추첨 배정이, 비평준화 지역은 지역별 선발고사를 통한 학교 선택 배정이 각각 이뤄진다.
반면, 서울권 일반계고교에선 올해 입시부터 고교선택제가 이뤄져 총 세 차례에 걸쳐 학교 선택이 가능하다.
Point 03
>올해 입시부터 서울지역 일반계고교는 고교선택제 시행
고교선택제를 잘 활용하면 자신이 속한 학군 외에 다른 지역에 있는 우수한 고교에 진학할 수 있다. 또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을 받게 된 일반계 학교 간에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경쟁이 활발해져 결과적으로 좀 더 나은 교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교선택제에서는 총 3단계에 걸쳐 지원이 가능하다. 1단계에서는 서울 전 지역을 하나의 학군으로 설정, 서울 어느 지역이든 관계없이 원하는 2개의 학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각 학교는 전체 모집정원의 20%에 해당하는 학생을 1단계 지원자 중에서 추첨을 통해 선발한다.
1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은 2단계에서 자신이 속한 학군 중 2개의 학교를 선택해 지원할 수 있다. 2단계 전형을 통해 각 학교가 선발하는 인원은 전체 모집정원의 40%다. 2단계에서도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은 마지막 3단계 과정(추첨을 통한 강제 배정)을 통해 자신이 속한 학군을 포함, 인근 학군 내 학교 중 한 곳으로 가게 된다.
이와 별도로 특목고나 자율형사립고 못지않게 수준 높은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개방형자율학교(원묵고,구현고)에 지원할 수 있다.
Q1자립형사립고와 자율형사립고의 차이점은?
두 학교 모두 정부 지원금 없이 독립된 재정과 자유로운 교과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학교다.
단 자립형사립고는 국민공통교육과정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반면, 자율형사립고는 교과부에서 결정된 최소 이수단위만 충족시키면 그 외 교육과정은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
Q2고교석택제에서 학교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통학거리 대학진학률 장학금 및 교육환경 대학입시와 직접 연관되는 교육프로그램 구축 여부 재학생 학업성취도 수준 학교 전통 및 인지도
★Hello TV Tip★
고등학교 선택에 관련된 VOD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헬로TV VOD 교육 서비스 중 재능교육 스페셜 <우리 아이 고등학교 어디가 좋을까?>편에서 특목고,자사고,전문계고 등 분야별 고등학교의 입학전형 및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ditor 정주연 cooperation 엠베스트
달라진2010 고입 가이드
2010년 고교 입시는 극심한 변화를 앞두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고교 다양화 300프로젝트’ 시행으로 학교 선택권이 넓어진 반면 자율고 · 자립형사립고 · 고교선택제 도입으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본격적인 고교 입시철을 맞아 2010 고교 입시의 달라진 점들과 전형 일정을 모아봤다.
Point 01
고교 다양화 정책으로 학교 선택권 넓어져
올해 중3인 학생이 진학할 수 있는 고등학교의 종류는 과학영재학교 · 외고 · 과학고 · 국제고 · 자립형사립고 · 자율형사립고 ·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 개방형자율고 · 기숙형공립고 · 일반계고 · 전문계고 등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학교 다양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중3 학생의 학교 선택권이 넓어진 덕분이다.
다양한 학교가 새롭게 등장해 수험생 입장에선 자신의 적성과 특기, 장래 진로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특히 서울지역 중3 학생의 경우 고교선택제 도입으로 기존 전기모집 외에 후기모집에서도 원하는 고교를 골라 지원할 수 있게 됐다.
Point 02
>전기모집, 후기모집으로 서울지역 학생의 경우 최대 5번까지 지원 가능
우선 전기모집에선 한국과학영재학교 · 서울과학고 · 경기과학고 등 과학영재학교 입시가 가장 먼저 치러진다. 그 다음 외고 · 과학고 · 국제고· 자립형사립고 · 자율형사립고 · 자율학교 · 마이스터고 · 특성화고 중 한 곳을 선택해 원서를 낼 수 있다. 전기모집 고교의 경우 지난해와 달리 학교별 입시 일정이 다르더라도 중복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학교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전기모집 고교 입시에서 낙방했거나 전기모집 고교 진학에 관심이 없는 수험생은 후기모집을 노려야 한다. 지방의 경우 평준화 지역은 학군에 따른 추첨 배정이, 비평준화 지역은 지역별 선발고사를 통한 학교 선택 배정이 각각 이뤄진다.
반면, 서울권 일반계고교에선 올해 입시부터 고교선택제가 이뤄져 총 세 차례에 걸쳐 학교 선택이 가능하다.
Point 03
>올해 입시부터 서울지역 일반계고교는 고교선택제 시행
고교선택제를 잘 활용하면 자신이 속한 학군 외에 다른 지역에 있는 우수한 고교에 진학할 수 있다. 또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을 받게 된 일반계 학교 간에 우수 학생 유치를 위한 경쟁이 활발해져 결과적으로 좀 더 나은 교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교선택제에서는 총 3단계에 걸쳐 지원이 가능하다. 1단계에서는 서울 전 지역을 하나의 학군으로 설정, 서울 어느 지역이든 관계없이 원하는 2개의 학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각 학교는 전체 모집정원의 20%에 해당하는 학생을 1단계 지원자 중에서 추첨을 통해 선발한다.
1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은 2단계에서 자신이 속한 학군 중 2개의 학교를 선택해 지원할 수 있다. 2단계 전형을 통해 각 학교가 선발하는 인원은 전체 모집정원의 40%다. 2단계에서도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은 마지막 3단계 과정(추첨을 통한 강제 배정)을 통해 자신이 속한 학군을 포함, 인근 학군 내 학교 중 한 곳으로 가게 된다.
이와 별도로 특목고나 자율형사립고 못지않게 수준 높은 교육과정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개방형자율학교(원묵고,구현고)에 지원할 수 있다.
Q1자립형사립고와 자율형사립고의 차이점은?
두 학교 모두 정부 지원금 없이 독립된 재정과 자유로운 교과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학교다.
단 자립형사립고는 국민공통교육과정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반면, 자율형사립고는 교과부에서 결정된 최소 이수단위만 충족시키면 그 외 교육과정은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
Q2고교석택제에서 학교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통학거리 대학진학률 장학금 및 교육환경 대학입시와 직접 연관되는 교육프로그램 구축 여부 재학생 학업성취도 수준 학교 전통 및 인지도
★Hello TV Tip★
고등학교 선택에 관련된 VOD 서비스가 궁금하다면?
헬로TV VOD 교육 서비스 중 재능교육 스페셜 <우리 아이 고등학교 어디가 좋을까?>편에서 특목고,자사고,전문계고 등 분야별 고등학교의 입학전형 및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ditor 정주연 cooperation 엠베스트